wrapper class
프로그램에 따라 기본 타입의 데이터를 객체로 취급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메소드의 인수로 객체 타입만이 요구되면, 기본 타입의 데이터를 그대로 사용할 수는 없습니다.
이때에는 기본 타입의 데이터를 먼저 객체로 변환한 후 작업을 수행해야 합니다.
이렇게 8개의 기본 타입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객체로 포장해 주는 클래스를 래퍼 클래스(Wrapper class)라고 합니다.
boxing vs unboxing
위의 그림과 같이 기본 타입의 데이터를 래퍼 클래스의 인스턴스로 변환하는 과정을 박싱(Boxing)이라고 합니다.
반면 래퍼 클래스의 인스턴스에 저장된 값을 다시 기본 타입의 데이터로 꺼내는 과정을 언박싱(UnBoxing)이라고 합니다.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 버전 이후로 바뀐 것들 (1) | 2023.06.14 |
---|---|
오버라이딩 (0) | 2023.03.30 |
객체지향에서 인터페이스? (0) | 2023.03.30 |